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다문화교육, 배움학, 배움, 교육자본화
Multiculturalism, Erudition, the Power of Erudtion, the Invigoration of Educational Capital.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실천적 논고를 위한 배움학 관점에서의 교육자본화에 관한 연구이다. 21세기 포스트모던의 지식기반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은 한국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현상적 관점에만 치우쳐져 제대로 된 미래지향적인 실천적 연구는 결핍된 것이 사실이다. 배우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다. 그러기에 배운다는 것은 개인의 삶과 공동체를 개조하는 힘이다. 이것이 배움학의 관점이다. 인간의 배움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인간자본과 사회자본, 그리고 교육자본이 상호관여적으로 연계된 교육자본화의 노력이 필요하다. 다문화교육을 교육자본화하기 위해서는 이 나라에 머물고 있는 다문화인들을 이 사회의 중요한 인력자원으로 간주하는 관점부터 필요하다. 그래서 그들을 위한 공간, 관계 활동의 교육자본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이 사회의 발전을 약속하는 기대의 힘으로 작용한다. 배움학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자본화는 이미 시작된 미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invigoration of the educational capital for developing practical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tualize in terms of the Erudition. In the 21st century,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the key to achieve the successful edutopia. But until now, the research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ot enough to analysis of the practical researches for the future. The erudition was the instirnct of human-being. Therefore, the erudition was the power of reformatting pernonal and social lives. To achieve the eru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vigoration of educational capital that inter-related among the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capital. To invigorate the educational capital, we must focus on the multicultural pers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human capitals. In addition to this, we need to integrate among spaces, political relationship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invigoration of educational capltal. These should be the 'Expect' to promise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참고문헌 (29)

  1. [단행본] Banks, James, A. / 2007 /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 Allyn & Bacon
  2.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08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3.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09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4.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10 / 10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5.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6. [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지원 대책
  7. [학술지] 김낙흥 / 2008 /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지식적 기반과 교수방안에 관한 고찰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 (1) : 215 ~ 240
  8. [단행본] 김성곤 / 2002 / 다문화시대의 한국인 / 열음사
  9. [학술지] 김승희 / 2011 / 다문화가족의 자녀교육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 (4) : 17 ~ 33
  10. [학위논문] 김연이 / 2012 / 일반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11. [학술지] 김은정 / 2009 / 한국 청소년들의 ‘학생으로서의 정체성’ 수용과정 또래관계를 비롯한 ‘의미 있는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43 (2) : 85 ~ 129
  12. [학술지] 김정원 / 2006 / 국내 몽골 출신 외국인 근로자 자녀 학교교육 실태 분석 / 교육사회학연구 16 (3) : 95 ~ 129
  13. [학술지] 모경환 / 2007 /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39 (3) : 79 ~ 100
  14. [학술지] 박철희 / 2007 /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초등 사회·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사회학연구 17 (1) : 109 ~ 129
  15. [학술대회] 서종남 / 2008 / 다문화교육과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생활지도 / 일본국제이해교육학회 제 18회 연구대회
  16. [보고서] 설동훈 / 2005 /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17. [보고서] 정일선 / 2006 / 국제결혼 가족 및 아동실태 조사
  18. [보고서] 조영달 / 2006 /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19. [단행본] 최충옥 / 2009 /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 양서원
  20. [단행본] 최항석 / 2008 / 교육을 멈춰라 / 학지사
  21. [학술지] 최항석 / 2010 / 평생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 / 시민인문학 (18) : 9 ~ 32
  22. [단행본] 한준상 / 1999 / 호모 에루디티오 / 학지사
  23. [단행본] 한준상 / 2001 / 학습학 / 학지사
  24. [단행본] 한준상 / 2005 / 국가과외 / 학지사
  25. [단행본] 한준상 / 2007 / 교육자본론 / 학지사
  26. [단행본] 한준상 / 2009 / 생의 가 / 학지사
  27. [단행본] 한준상 / 2007 / 배움학, 시작된 미래 / 학지사
  28. [단행본] 한준상 / 2009 / 배움학, 각취의 향연 / 학지사
  29. [학술지] 한진상 / 2010 / 다문화교육NGO교사들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 교과교육학연구 14 (1) : 245 ~ 263

참고문헌 더보기
총 논문 수 300 / 12 페이지 총 권호 수 0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