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질적 메타 연구,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 적응, 메타문화기술지, 사회통합, 직업윤리
Qualitative Meta-research, Job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Meta-cultural Technology Journal, Social Integration, Work Ethics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 적응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12편에 북한이탈주민 직업 관련 질적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 적
응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논의와 아젠더를 발굴하고자 했다. 연구자들은 메타문화기술지(Meta ethnography) 방법으로 접근했다. 자료 분석 결과 239개
의 하위주제, 52개의 종합 주제, 10개의 핵심 주제를 도출했다. 질적 연구물들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의 공동체적 가치관과 직업윤리,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포용적인 직업 정책, 사회통합의 구체적 방법으로서의 직업 적응에 대한 논의를 했고 구체적 제언을 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study on the job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udy attempted to discover new discussions and adults that
can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job adaptation by analyzing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job of 12 North Korean defectors conducted in Korea.
Researchers approached it with the meta-cultural technology aspiration metho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239 sub-themes, 52 comprehensive topics, and 10 core
topic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qualitative studies, we discussed the
community values and work eth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clusive job polici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job adaptation as a concrete method of social
integration, and made specific suggestions.

참고문헌 (73)

  1. 공수연・김정미(2018).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차별 경험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2. 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59, 111-135.
  3. 권은정(2020). 북한 출신 북한 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직무 경험.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
  4. 원 박사학위논문. 김명희(2019).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생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
  5. 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김명희・최수찬(2022).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통일전략, 22(3),
  6. 63-110.
  7. 김성연・김현주(2019). “북한이탈 주민의 직업적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
  8. 지질적연구, 13(1), 151-175.
  9. 김재엽・최지현・류원정(2012). “PTSD 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
  10. 탄력성. 사회적 교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343-367.
  11. 김현경(2010). 북한이탈주민의 고문으로 인한 외상 후 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
  12. 연구, 43(3), 81-106.
  13. 김혜원(2019). 북한이탈주민의 노동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김희진・정윤경(201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 및 자존감의 조절효과. 사
  14. 회연구, 16(1), 9-46.
  15. 박병애(2022). “탈북 기독교인의 주체사상 극복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Grounded Theory)
  16. 연구 접근.” 선교신학, 65, 113-156.
  17. 박이석(2016). “북한이탈주민 남한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정책과학연구, 25, 1-21.
  18. 박정순・이혜숙(2020).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
  19. 성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34(2), 127-145.
  20. 송만호(2022). 질적메타합성 방법론 탐색과 특수교육 연구에서의 시사점. 특수교육연구, 29(3), 36-66.
  21. 오은경(2018).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과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승진(2018).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간호사로서의 체험: Max van Manen 의 해석학적 현상학
  22.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박사학위논문. 원혜진(2021). 북한이탈주민의 공무원 직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
  23.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적응에 관한 연구 121
  24.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권일(2015).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이 문화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위기개입기술의 매
  25. 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16, 55-82.
  26. 이근무・이재관(2022).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생활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Glaser 의 근거이
  27. 론 접근. 다문화와 평화, 16(2), 1-29.
  28. 이민지・전진용・장혜인(2016).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29. 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59-481.
  30. 이승엽・김동주・이영광(2022). 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적응 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모살
  31. 이’. 교육문화연구, 28(6), 469-491.
  32. 이재관(2022). “북한이탈주민들의 주체사상 극복과 한국 사회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숭실대
  33.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은주(2017). 북한이탈여성들의 직업교육 경험과 취업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시 거주자
  34. 들을 중심으로: 서울시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7, 173-189.
  35. 이종은(2003).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
  36. 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7. 이지영・최경원(2021). “북한이탈주민 직장적응 실태 분석과 제언.” 대한정치학회보, 29(1),
  38. 55-87.
  39. 임영섭(2022). 북한이탈주민의 일자리 전환에 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신한대학
  40.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병주(2017).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국민정체성의 조절효
  41. 과.” 인문사회과학연구, 18(1), 333-367.
  42. 정성은・김수향(2017). “IPA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 선택속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
  43. 육연구, 17(20), 311-332.
  44. 조인수・손민정・최정은(2020).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과 직업적응에 관한 연구.” 한
  45. 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354-372.
  46. 최수찬・이은혜・김명희・이혜림(2019).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직
  47. 장생활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2(1), 131-163.
  48. 최은석(2018).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제도 변천과 사회적응교육의 개선 방향.” 북한법연
  49. 구, 18, 387-425.
  50. 122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51. Devereux-Fitzgerald, A., Powell, R., Dewhurst, A., & French, D. P.(2016). The
  52. acceptability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to older adults: A systematic
  53. review and meta-synthesis. Social science & medicine, 158, 14-23.
  54. DeJean, D., Giacomini, M., Vanstone, M., & Brundisini, F.(2013). Patient experiences
  55. of depression and anxiety with chronic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56. qualitative meta-synthesis. Ontario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eries,
  57. 13(16), 1.
  58. Eliasson, E., Teräs, M., & Osman, A.(2022). ‘Back to work’—factors facilitating migrants’
  59. re-entry into their previous vocations.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35(8),
  60. 828-842.
  61. Fedrigo, L., Cerantola, M., Frésard, C. E., & Masdonati, J.(2023). Refugees’ meaning of
  62. work: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work purposes and expectations. Journal
  63. of Career Development, 50(1), 52-68.
  64. Jørgensen, C. H., Hautz, H., & Li, J.(2021). The rol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65. training in the integration of refugees in Austria, Denmark and Germany.
  66. International journal for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8(3),
  67. 276-299.
  68. Malterud, K., Reventlow, S., & Guassora, A. D.(2019). Diagnostic knowing in general
  69. practice: interpretative action and reflexivity.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70. Health Care, 37(4), 393-401.
  71. Rusert, K., & Stein, M.(2023). Chances and discrimination in dual vocational training
  72. of refugees and immigrants in German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73. Training, 75(1), 109-129.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