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지방소멸, 이민정책, 캐나다, 주정부추천프로그램, PNP
Local Decline, Immigration Policy, Canada, Provincial Nominee Program (PNP)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 주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지방 이민정책인 ‘주정부추천프로그램
(Provincial Nominee Programs: PNP)’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
라에 적용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지방소멸의 현황 및 국
내외 선행연구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고, PNP 제도의 주요 내용, 관리체계, 정책성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22년 현재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이 0.78명이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 중 17.5%로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
사회(14% 이상)에 이미 진입한 상태이다. 둘째, 우리나라 지방소멸 위험지역은 기초지방자치단
체인 전체 시군구 228개 중 2018년에 89개 지역(39.0%), 2020년에 105개 지역(46.1%),
2023년에 118개 지역(51.7%)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셋째, 캐나다는 비도시지역이나 중
소도시지역의 경제 쇠퇴 및 저출생・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 정부가 해당 지역에 필요한
이민자를 지명하여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주정부추천프로그램(PNP)을 1999년에 도입하였다. 넷째, 캐나다의 PNP의 추진체계는 주정부가 지역에 필요한 이민자 후보를 지명하고 추천하는
1단계와 연방정부(이민부)가 이들에 대한 입국여부(보안, 범죄 등)를 심사・결정하는 2단계로 구
성되어 있는데, 주정부 추천 이민자의 연방정부의 승인율은 약 96%이다. 다섯째, PNP의 성과
중 주정부별 PNP의 활용정도는 1999~2007년(8년 동안)에 Prince Edward Island 주가
56.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Manitoba 주로 49.8%의 순으로 나타났다. PNP가 전체이민프
로그램 중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2000년에는 1%였으나 2019년에는 34.9%로 지난 20년간 가장 비중이 큰 이민프로그램으로 발전하였다. PNP의 지역적 분산도를 살펴보면, 2000~2019
년에 Toronto 대도시지역에 정착하는 이민자는 감소한 반면(61%→42%), 비도시지역인
Manitoba 주와 Saskatchewan 주는 상당히 증가(0%→7%)하였다. 이는 PNP가 대도시지역
의 인구과밀을 줄이고 비도시지역의 인구감소,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기여와 성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지방
이민정책에 적용 가능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contents and achievements of the
Provincial Nominee Programs (PNP), a local immigration policy led by the Canadian
state government, and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based on thi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local extinction in Korea and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were critically reviewed, and the main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policy outcomes of the PNP system were analyzed, respectivel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of 2022, the total fertility rate in
Korea is 0.78, and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s 17.5% of the total
population, and Korea has already entered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14% or
more). Second, the risk areas of local extinction in Korea are rapidly increasing to 89
regions (39.0%) in 2018, 105 regions (46.1%) in 2020, and 118 regions (51.7%) in 2023.
Third, Canada introduced the Provincial Nominee Program (PNP) in 1999, allowing
the state government to nominate and reside in the region in order to solve the
economic decline and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s in non-urban or small and
medium-sized urban areas. Fourth, Canada’s PNP operates in two stages. It consists of
the first stage in which the state nominates and recommends immigrant candidates for
local needs, and the second stage in which the federal government (Ministry of
Immigration) examines and determines whether they enter the country (security,
crime, etc). The federal government’s approval rate for state-recommended
immigrants is about 96%. Fifth, among the achievements of PNPs, the degree of use of
PNPs by state was the highest in Prince Edward Island at 56.2% from 1999 to 2007 (8
years), followed by Manitoba at 49.8%. Looking at the share of PNPs in the total immigration programs, it was 1% in 2000 but 34.9% in 2019, which has developed into
the largest share over the past 20 years. Looking at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PNPs,
between 2000 and 2019, the number of immigrants settling in the Toronto
metropolitan area decreased (61%→42%), while the non-urban states of Manitoba and
Saskatchewan increased significantly (0%→7%). This shows that PNPs have significant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in reducing overcrowding in metropolitan areas and
solving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population aging, and labor shortage in
non-urban areas.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pplicable to Korea’s local immigration policy were presented.

참고문헌 (156)

  1. 강동관(2021). 한국의 인구구조와 외국인 정책방향: 이민자 유입, 사회통합, 거버넌스. 「한국
  2. 이민정책학보」, 4(2): 3-30.
  3. 강동우(2019). 지방소멸 위험과 지역고용의 상관관계 분석. 「노동리뷰」, 30-39.
  4. 고문익・김걸(2021).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4(1):
  5. 17-27.
  6. 구동회(2018). 도시발전단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2(4): 481-497.
  7. 구양미(2021). 인구변화와 도시쇠퇴의 지역 불균형: 저출산과 지방소멸의 문제에 대한 시사
  8. 점. 「국토지리학회지」, 55(3): 301-320.
  9. 구형수・김태환・이승욱・민범식(2016). 「저성장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국토
  10. 연구원 연구보고서. 권경득・임동진・이광원・이종익(2019). 호주 이민정책(프로그램)의 실태분석 및 정책적 함의:
  11. 이민자, 난민, 불법체류자 관리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3(2): 35-65.
  12. 권상철(2005).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 이주자 선별성의 상
  13. 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6): 571-584.
  14. 김동완(2015). 지방 소멸의 시대, 생존전략으로서 균형발전. 「월간 공공정책」, 120, 28-30.
  15. 김순은(2017). 일본의 지방창생정책. 「공공정책연구」, 33(2): 25-54.
  16. 문병효(2021). 지방분권과 지방소멸의 대응방안: 이른바 ‘지방소멸’에 직면한 지방자치의 현
  17. 실과 대응책을 중심으로. 「한국자치법연구」, 21(3): 243-288.
  18. 박승규・김선기(2016).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
  19. 고서. 박진경・김상민(2018).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유형별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
  20. 구원 연구보고서. 법무부(2023). 「2024년도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공모 안내. 법무부 공고 제2023-452호
  21. (2023년 12월 8일).
  22. 성은영・임유경・심경미・윤주선(2015).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유선종・노민지(2018). 지방소멸, 어디까지 왔나?, 「매경출판」.. 유한별・탁근주・문정승(2021). 한국 지방소멸 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머신러닝 방법을
  23. 178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24. 통한 탐색. 「지방정부연구」, 24(4): 443-476.
  25. 이건웅(2020). 지역소멸과 지역재생의 해결 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43: 125-143.
  26. 이기배(2017). 일본의 인구감소 시대 지역발전정책의 체계 및 방향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
  27. 학보」, 30(4): 81-104.
  28. 이상호(2016). 지역고용동향 심층분석: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지역고용동향
  29. 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
  30. 심으로. 「고용동향 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2020). 「포스트 코로나 19와 지역의 기회」. 한국고용정보원 보고서. 이상호・서룡・박선미・황규성・김필(2021).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
  31. 델」. 기본연구 2021-12. 한국고용정보원
  32. 이상호・이나경(2023). 지방소멸위험 지역의 최근 현황과 특징. 「지역산업과 고용」, 2023년 7
  33. 월호. 한국고용정보원. 이성순(2023). 법무부 지역특화형 비자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충청남도 보령시 시범운영 사례
  34. 를 중심으로. 「한국이민정책학보」, 6(2): 51-73.
  35. 이희연・한수경(2014). 「길 잃은 축소도시 어디로 가야 하나」. 국토연구원. 임동진(2020). 저출산 고령화시대 미국, 캐나다, 호주의 이민정책 비교 연구: 이민인구와 최근
  36.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4(2): 69-99.
  37. 임동진(2022). 지방소멸, 이민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호주 지방정부의 SSRM 이민프로
  38. 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1): 87-118.
  39. 임보영・이경수・마강래(2018).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일본의 사례를 중심
  40. 으로. 「공간과 사회」, 64: 45-70.
  41. 임석회(2018). 인구감소도시의 유형과 지리적 특성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52(1): 65-84.
  42. 임석회(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365-386.
  43. 임형백(2017). 인구감소시대에 축소도시를 활용한 도시계획. 「도시행정학보」, 30(2): 87-114.
  44. 전경구・전형준(2016).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
  45. 지역개발학회지」, 28(1): 1-28.
  46. 정선화(2023). 북유럽 지방소멸의 위기와 정책적 대응: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41(2): 177-208.
  47. 지방소멸을 해결하는 캐나다 지방 이민정책의 성과와 시사점 179
  48. 정성호(2019). 강원도 인구변화와 지역소멸 위험. 「사회과학연구」, 58(1): 3-22.
  49. 정성호・홍창수(2018). 강원 지역의 소멸 가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7(1): 3-25.
  50. 주상현(2021). 지방자치단체 인구소멸 실태와 정책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35(3): 297-322.
  51. 최서리(2016). 캐나다와 호주의 ‘지역추천 이민자 선발제도’의 국내적용 가능성 논의. 「IOM이
  52. 민정책연구원 정책보고서」. No. 2016-01.
  53. 최재헌(2010). 한국 도시 성장의 변동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89-102.
  54. 통계청(2019).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보도자료. 2019년 3월 28일자. 통계청(2022). 「2022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55. 1010000&bid=10820&tag=&act=
  56. view&list_no=420896&ref_bid> (검색일: 23.11.21.).
  57. 하동현(2017). 인구감소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지방분권: 일본의 지방소멸론과 지방창생을 소
  58. 재로.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14(3): 1-27.
  59. 하혜영・김예성(2021). 지방소멸 위기지역의 현황과 향후 과제. 「NARS 입법・정책」, 제85호. 국회입법조사처. Argent, N., & Walmsley, J.(2015). Rural Youth Migration Trends in Australia: An
  60. Overview of the Last Decade. Journal of Rural Studies, 39, 168-178.
  61. Baglay, S.(2012). Provincial Nominee Programs: A note on policy implications and
  62. future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13(1): 121–141.
  63. Baglay, S., & Nakache, D.(2014). Immigration Federalism in Canada: Provincial and
  64. Territorial Nominee Programs (PTNPs). In: Baglay, S., & Nakache, D. (eds)
  65. Immigration Regulation in Federal Stat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66. Migration, vol 9. Springer, Dordrecht.
  67. 8604-1_5> (검색일: 2023.10.31.).
  68. Beauregard, R. A.(2009). Urban Population Loss in Historical Perspective: United
  69. States 1820-2000. Environment and Planning A, 41: 514-528.
  70. Bonikowska, A., Hou, F., & Picot, G.(2015). Which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Best
  71. Predict the Earnings of Economic Immigrants? Ottawa: Statistics Canada,
  72. Analytical Studies Branch Research Paper Series 368.
  73. 180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74. Carter, T., C., Polevychok, C., Osborne, J., Adeler, M., & Friesen, A.(2009). An
  75. Evaluation of the Manitoba Provincial Nominee Program. Report prepared for
  76. Manitoba Labour and Immigration.
  77. Carter, T., Morrish, M., & Amoyaw, B.(2008). Attracting immigrants to smaller urban
  78. and rural communities: Lessons learned from the Manitoba Provincial
  79. Nominee Program.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Revue
  80. de l’integration et de la migration internationale, 9, 161-183.
  81. Citizenship and Immigration Canada (CIC).(1992–1996). “Citizenship and Immigration
  82. Statistics,” annual reports for 1992 – 1996, online:
  83. english/resources/statistics/index.asp>
  84. (검색일: 2023.10.31.).
  85. Citizenship and Immigration Canada (CIC).(2008). Facts and Figures, 2007: Immigration
  86. Overview – Permanent and Temporary Residents. Ottawa: Minister of Public
  87. Works and Government Services.
  88. Citizenship and Immigration Canada (CIC).(2011). “Preliminary tables—permanent
  89. and temporary residents, 2010.” Online:
  90. index.asp> (검색일: 2023.10.31.).
  91. Collantes, F., Pinilla, V., Sáez, L. A., & Silvestre, J.(2014). Reducing Depopulation in
  92. Rural Spain: The Impact of Immigration. Population, Space and Place, 20(7):
  93. 606-621.
  94. Employment and Immigration Canada (EIC). “Immigration Statistics,” annual reports
  95. for 1985 – 1991.
  96. Gagnon, E., & Khoury, L.(2020).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Local Economies: A
  97. Study of the Rural and Northern Immigration Pilot (RNIP) in Canada. Journal
  98. of Rural and Community Development, 15(2): 99-116.
  99. George, U.(2010). Immigration to Canada. Immigration Worldwide: Policies, Practices
  100. and Trends, 95-111.
  101. Gkartzios, M., & Scott, M.(2014). Placing Housing in Rural Development: Exogenous,
  102. 지방소멸을 해결하는 캐나다 지방 이민정책의 성과와 시사점 181
  103. Endogenous and Neo-endogenous Approaches. Sociologia Ruralis, 54(3):
  104. 241-265.
  105. Government of Alberta(2009). “Alberta Immigrant Nominee Program,” online:
  106. albertacanada.com/immigration/immigrate/semiskilledworkers.html>(검색일:
  107. 2023.10.30.).
  108. Government of Canada(2002). “Immigration and Refugee Protection Regulations
  109. (IRPA). SOR/2002-227.” (검색일: 2023.11.30.).
  110. Government of Manitoba(2012). Manitoba Immigration Facts: 2011 Statistical Report.
  111. Manitoba. Canada.
  112. 2017/11/mpnp-manitoba-immigration-statistics-facts-2011.pdf>(검색일:
  113. 202311.30.).
  114. Grant, H., & Sweetman, A.(2004). Introduction to Economic and Urban Issues in
  115. Canadian Immigration Policy. Canadian Journal of Urban Research, 1-24.
  116. Hall, P. A., & Taylor, R. C.(1996).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s.
  117. Political Studies, 44(5): 936-957.
  118. Heikkila, T., & Isett, K. R.(2022).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119. Theory in Political Science.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25, 61-80.
  120.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2022). Rural and Northern Immigration
  121. Pilot: Report on the First Year. Ottawa: IRCC.
  12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2020). World Migration Report 2020. Geneva:
  123. IOM.
  124. Leo, C., & August, M.(2009). The multilevel governance of immigration and settlement:
  125. making deep federalism work. Canad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2(2):
  126. 491-510.
  127. Lewis, N. M.(2010). A Decade Later: Assessing Successes and Challenges in Manitoba’s
  128. Provincial Immigrant Nominee Program. Canadian Public Policy. 36(2): 241-64.
  129. Liston, M., & Carens, J.(2008). Immigration and Integration in Canada. Migration and
  130. Globalisation: Comparing Immigration Policy In Developed Countries, 207-227.
  131. 182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132. Lowndes, V., & Roberts, M.(2013). Why Institutions Matter: The New Institutionalism
  133. in Political Science. London: Palgrave Macmillan.
  134. March, J. G., & Olsen, J. P.(1989). Rediscovering Institutions. New York: Free Press.
  135. Pandey, M., & Townsend, J.(2011). Quantifying the Effects of the Provincial Nominee
  136. Programs. Canadian Public Policy. 37, 495-512.
  137. Peters, B. G.(1999). Institutional Theory: The “New Institutionalism” in Political
  138. Science. London: Cassells.
  139. Pew Research Center(2020). Key Findings about U.S. immigrants. Retrieved from
  140. https://www.pewresearch.org (검색일: 2024.08.09.).
  141. Picot, G., Hou, F., & Crossman, E.(2023). The Provincial Nominee Program: Its
  142. Expansion in Canada. Economic and Social Reports. 3(7): 1-14. Statistics
  143. Canada.
  144. Ramos, P., Lourenço, J. S., & Silva, J.(2016). Demographic Decline, Population Aging,
  145. and the Rural–urban Dichotomy in a Southern European Region: Trás-os- Montes in Portugal. Population Review, 55(1): 1-24.
  146. Ryan, M., Moloney, S., & Yates, J.(2016). The Influence of Migration on Australia’s
  147. Population Growth. Australian Population Studies, 1(1): 37-50.
  148. Rye, J. F., & Scott, S.(2018). International Labour Migration and Food Production in
  149. Rural Europe: A Review of the Evidence. Sociologia Ruralis, 58(4): 928-952.
  150. Spinks, H.(2018). Migration-Issues for Australia’s Migration Program. Parliamentary
  151. Library Briefing Book. Parliamentary Library, Canberra.
  152. Statistics Canada(2020). Canada’s Population Growth: Recent Trends and Implications. Ottawa: Statistics Canada.
  153. Vineberg, R.(2008). “Immigration to the Prairies Returning to Historical Levels”, online:
  154. Canada West Foundation.
  155. 0140940.php> (검색일: 2023.10.31.)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