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자아, 타자, 관계, 신의, 주체화
Self, Other, Relationship, Faith, Subjectivation

초록

본고는 이수광의 「조완벽전」을 분석하고 안남에 대한 그의 인식을 고찰한 후 그의 타자 인식에 나타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수광은 「조완벽전」을 통해 조완벽의 전쟁 체험보다 그가 경험한 안남에 대해 소개하였고, 조선 사회가 안남이라는 타자를 접촉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회복하면서 내부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치유하며 결속을 다질 것을 기대하였다. 또한 조선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전제로 조선의 주체화를 추구하고자 한 이수광은, 안남의 문화를 소개하면서 조선이 세계와 소통하며 공존해야 하는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지만, 조완벽처럼 안남을 구체적 근거 없이 차별화하였다. 이러한 안남에 대한 이수광의 인식은 조선의 문화를 준거로 그리고 동질화라는 문화 개념을 기초로 형성되었기에 태생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그러한 시선으로 국제 정세를 바라보았기에 조선이 동아시아 전쟁이 야기한 국가적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실리적 방법을 도모할 때 난항을 거듭할 수밖에 없었음을 추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아와 타자가 서로를 믿고 존중하며 소통을 통해 공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때 양자의 주체화가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자아와 타자의 관계적 사유가 현대 한국 사회의 통합을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Cho Wan-beak Jeon」 Lee Soo-Gwang did not introduce the experiences of war of Cho Wan-beak but Annam that Cho Wan-beak experienced. And Lee Soo-Gwang expected that Chosun society could recovery the identity, heal the suffering of war and strengthen the solidarity, contacting and understanding Annam. Seeking subjectivation of Chosun on the assumption self-esteem of tradition and culture of Chosun, Lee Soo-Gwang also objectively introduced culture of Annam and asserted that Chosun should aim for the society could communicate and coexist with the world. However like Cho Wan-beak Lee Soo-Gwang differentiated Annam without concrete reasons. Being formed on a basis of culture of Chosun, Lee Soo-Gwang’ perception of Annam fundamentally contained discriminative perspective. And being formed on a basis of homogeneity, it originally had limit. Therefore if self and other believe and respect the other party, and seek and fulfill plans for symbiosis, both self and other will be able to realize subjectivation, and also prepare the critical clue for social unification through the relational cogitation of self and other.

참고문헌 (33)

  1. [기타] / 1788 / 재자관 홍명복이 수본(手本)으로 청나라 사정을 알리다. 「조선왕조실록」
  2. [기타] / 1790 / 서장관 성종인이 올린 ‘문견별단(聞見別單)’. 조선왕조실록
  3. [기타] 경섬 / 윤유월소(閏六月小). 해사록(海槎錄)下
  4. [기타] 서호수 / 기열하지원명원. 「연행기(燕行紀)」권
  5. [단행본] 이수광 / 지봉집 권8
  6. [단행본] 이수광 / 지봉집 권2
  7. [단행본] 이수광 / 지봉유설 권2
  8. [단행본] 이수광 / 지봉유설 권4
  9. [단행본] 이수광 / 지봉유설 권18
  10. [단행본] 이종휘 / 수산집 권13
  11. [단행본] 이준 / 창석집 권12
  12. [단행본] 정사신 / 매창집 권4
  13. [단행본] 정재륜 / 한거만록
  14. [단행본] 임형택 / 2012 / 한문 서사의 영토 1 / 태학사
  15. [단행본] 임형택 / 2012 / 한문 서사의 영토 1 / 태학사
  16. [단행본] 국립진주박물관 / 2010 / 임진왜란 조선인 포로 의기억 / 지앤에이커뮤니케이션 : 6 ~ 35
  17. [학술지] 권혁래 / 2008 / <조완벽전(趙完璧傳)>의 텍스트와 문학적 의미 연구 / 어문학 (100) : 205 ~ 234
  18. [학술지] 김문식 / 2004 / 이수광의 자아인식과 타자인식 / 진단학보 (98) : 209 ~ 232
  19. [단행본] 김문자 / 2010 / 임진왜란 조선인 포로의 기억 / 지앤에이커뮤니케이션 : 122 ~ 131
  20. [학술지] 김시덕 / 2014 / 유럽 종교전쟁 동남아서 연장전 日 끌려간 조선인들 종교탄압도 / 주간조선 2307 : 44 ~ 47
  21. [학술지] 김정숙 / 2011 / 조선후기 體驗과 想像의 日本 -日本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9) : 143 ~ 176
  22. [단행본] 김태준 / 1977 / 壬辰亂과 朝鮮文化의 東漸 / 한국연구원 : 289 ~ 299
  23. [단행본] 김한규 / 2007 /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 휴머니스트 : 285 ~ 315
  24. [학술지] 박희병 / 2009 / 조선 후기 지식인과 베트남 / 한국문화 (47) : 159 ~ 176
  25. [학술지] 서경희 / 2012 / “조완벽전”에 나타난 이방, 이방인 서사의 의미 / 동방학 (25) : 59 ~ 99
  26. [학술지] 손찬식 / 2006 / <趙完璧傳>을 통해 본 芝峯 李?光의 越南 認識 / 고소설연구 (21) : 215 ~ 248
  27. [학술지] 신병주 / 2008 / 이수광 - 박학(博學)과 소통을 추구한 실학의 선구자 / 한국사시민 강좌 42 : 159 ~ 176
  28. [단행본] 이승훈 / 2003 / 탈근대주체이론 과정으로서의 나 / 푸른사상사 : 28 ~ 50
  29. [단행본] 이채란 / 1995 / 壬辰倭亂 捕虜實記 硏究 / 박이정 : 154 ~ 188
  30. [학술지] 임유경 / 2005 / 徐浩修의 『燕行記』 연구 / 고전문학연구 (28) : 379 ~ 410
  31. [학술지] 최원오 / 2009 / 17세기 서사문학에 나타난 越境의 양상과 超國的 공간의 출현 / 고전문학연구 (36) : 189 ~ 224
  32. [학술지] 하우봉 / 2006 / 해양사관에서 본 조선시대의 재조명 : 동남아시아국가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 日本思想 (10) : 189 ~ 242
  33. [단행본] 요네타니 히토시 / 2007 /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 휴머니스트 : 85 ~ 112

참고문헌 더보기
총 논문 수 300 / 11 페이지 총 권호 수 0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