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외국인정책, 사회통합, 사회통합기금, 수익자부담원칙, 프로그램
foreigner policy, social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fund, benefit principle, program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을 위하여 각 부처별로 추진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효율적 추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외국인, 사회통합 그리고 사회통합기금에 대한 개념, 영역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각 부처가 운영하고 있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분석단위를 개별 프로그램과 전체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였고 분석기준은 사회통합기금사업 적격성분석과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효율성 분석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6개의 세부 착안사항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도 있고 외국인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통합 프로그램 중 일정 부분은 직접 서비스를 전달하는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기반구축과 관련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다. 셋째,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프로그램의 수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수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바람직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은 유사․중복적인 프로그램이 일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은 입국 전 단계→입국 후 3개월 이내 단계→체류 단계→영주․귀화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할 때 체류단계에 전체의 50%이상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프로그램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 부처는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을 설계하여야 원하는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program) directions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We studied concept and boundary of foreigner, social integration, fund, benefit principle, program in order to attain of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rograms that has been running the other ministries. Analysis units of this study divided into individual program and entire programs and indicators divided into eligibility analysis of social integration fund program and operating efficiency analysis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our country's social integration program appears to be the offering the service to immigrant(sometimes includes Koreans). The second, parts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s related to infra-structure. The third, parts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s not associated with a customized program. The fourth, parts of our country's social integration programs is similar or overlapping programs. The fifth, More than half of our country's social integration programs are concentrated in specific steps(especially, stay step). The sixth, our country's social integration programs interested in delivery of information related to basic life. Policy decision makers should be considered the result of this study to design of the policy directions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참고문헌 (32)

  1. [학술지] 강신욱 / 2010 / OECD 사회통합지표의 이해 / 보건복지포럼 167 : 122 ~ 127
  2. [학술지] 고상두 / 2010 / 통일 이후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동서독 지역주민의 인식 / 유럽연구 28 (2) : 269 ~ 288
  3. [학술지] 권숙도 / 2014 /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 정책방향 연구 / 한국정치연구 23 (1) : 101 ~ 126
  4. [학술대회] 김준현 / 2014 / 이민자 사회통합서비스 전달체계 비교연구 /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 361 ~ 390
  5. [보고서] 노대명 / 2009 / 사회통합을 위한 과제 및 추진전략
  6. [학술대회] 노형돈 / 2008 / 이주여성의 인권: 법제와 정책-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이주여성의인권현황과 개선방안 / 제32회 국회 인권포럼 발표논문
  7. [보고서] 박상원 / 2007 / 수익자부담 원칙의 이해, In 현안분석
  8. [보고서] 설동훈 / 2008 / 한국의 이주민 사회통합 지표 및 지수개발에 대한 연구
  9. [보고서] 오영훈 / 2010 / 취약계층 평생직업훈련의 사회통합효과 분석(편)
  10. [보고서] 이건 / 2013 / 사회통합 실태조사
  11. [학술지] 이상윤 / 2014 / 한국 이민·다문화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사회통합 측면의 탐색적 연구 / 사회과학연구 25 (3) : 175 ~ 204
  12. [학술지] 이용균 / 2014 / 서구의 이주자 정책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시사점-동화, 다문화주의, 사회통합 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 (1) : 112 ~ 127
  13. [학위논문] 이정은 / 2009 / 유럽연합의 제5차 확대로 본 동서유럽의 통합: 남북통합을 위한 성찰
  14. [보고서] 정명주 / 2013 / 경제발전 등을 위한 제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15. [보고서] 조석주 / 2012 /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정책 개선방안
  16. [보고서] 조세현 / 2013 / 사회안전 제고를 위한 거주 외국인 사회통합 및 관리방안 연구
  17. [학위논문] Jin Hui Lian / 2014 / 한국형 이주민 사회통합정책 모형 연구 : 재한 중국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18. [학술대회] 차용호 / 2008 /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향 / 한국이민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19. [학술지] 최현실 / 2009 /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중국과 싱가포르의 상호성 원리의 한국 사회에 적용가능성 / 한국민족문화 (35) : 343 ~ 375
  20. [기타] / 국적법
  21. [기타] / 재한외국인 처우기본법
  22. [기타] / 출입국관리법
  23. [기타]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 2005 / Australia's Welfare 2005
  24. [보고서] Berger-Schmitt, Regina / 2000 / Conceptual Framework and Structure of a European System of Social Indicators
  25. [학술지] Chan. J / 2006 / Reconsidering Social Cohesion: Development a Definition and Analytical Framework for Empirical Research / Social Indicators Research 75 : 273 ~ 302
  26. [학술지] Dimeglio. I / 2013 / Social Cohesion and the Labor Market:Societal Regimes of Civic Attitudes and Labour Market Regimes / Social Indicators Research 111 (3) : 753 ~ 773
  27. [기타] Jenson. J. / 1998 / Mapping Social Cohesion / Canadian Policy Research Network
  28. [학술지] Kearns. A / 2000 / Social Cohesion: Multilevel Urban Governance / Urban Studies 37 (5/6) : 995 ~ 1017
  29. [단행본] Krechel. Reinhard / 1999 / Surviving the Twentieth Century. 85-95. Social Philosophy from the Frankfurt School to the Columbia Faculty Seminars / Transaction Publishers
  30. [학술지] Landecker. Werner. S. / 1951 / Types of Integration and Their Measurement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56 (4) : 332 ~ 340
  31. [보고서] Maxwell. J / 1996 / Social Dimensions of Economic Growth
  32. [학술대회] Wolley. F. / 1998 / Social Cohesion and Voluntary Activity: Making Connections / presented to conference on the State of Living Standards and the Quality of life

참고문헌 더보기
총 논문 수 300 / 11 페이지 총 권호 수 0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