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북한이탈여성 노인, 성공적 노화,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The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Successful Ag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cale of Successful Aging of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여성 노인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2.16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여성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은 물질적 지지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여성 노인들의 자기효능
감은 성공적 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
여성 노인들의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북한이탈여성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데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수인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
하여 북한이탈여성 노인들이 성공적 노화를 지지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 강화와 물질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의 중요성과 함께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North Korean
refugee women. A survey was conducted on 293 elderly North Korean refugee wom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2.16.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elderly
North Korean refugee wome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terial suppor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of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Fourth, the self-efficacy of elderly North Korean refugee
women affects successful aging, and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ave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self-efficacy and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o support successful aging for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참고문헌 (145)

  1. 강해자(2013).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지
  2. 원학회지」, 8(1), 1-16.
  3. 공경배・모선희(2023).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4.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7), 465-477.
  5. 권중돈・손의성(2010).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6. 효능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49, 81-105.
  7. 권혁창・장성현(2022).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인 빈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근로여부별 비
  8. 교. 「한국콘텐츠학회」, 22(9), 689-699.
  9. 김고은・이종림(2013). 장애노인의 이중차별경험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역할수행의 매개효
  10. 과: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59, 257-280.
  11. 김명선(2019).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이 남한사회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적응
  12. 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0(3), 125-138.
  13.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
  14. 학」, 28(1), 33-48.
  15. 김석일・오현옥(2016).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 자아통합감 및 성공적 노
  16. 화. 「한국체육학회지」, 55(6), 509-520.
  17. 김선숙(2024).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한국과 세계」, 6(2), 343-368.
  18. 김성희・정승호・김병연(2022).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형성요인. 「비교경제연
  19. 구」, 29(1), 25-55.
  20. 김승미・김보현・구광현(2022). 정서적 지지와 그릿, 심리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
  21. 중심교과교육연구」, 22(13), 249-262.
  22. 김재중(2008).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희・박지영(2015).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23.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210-222.
  24. 김준표・김명일・변채린・정영희(2024). 노인의 차별경험과 인권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
  25. 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 구」, 5-25.
  26. 김태완・이주미(2022). 노인빈곤과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제언. 「보건복지포럼」, 305, 60-73.
  27. 김효주(2019).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노후 준비 저해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
  28. 144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29. 교 박사학위논문. 남북하나재단(2024). 「2023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서울: 남북하나재단. 남북하나재단(2019). 「2018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서울: 남북하나재단. 남태현・이희경(2016). 정서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관계성을 통한 진정성의 매개
  30. 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7(3), 45-64.
  31. 박병애(2022). 탈북 기독교인의 주체사상 극복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Grounded Theory)
  32. 연구 접근. 「선교신학」, (65), 113-156.
  33. 박성정・문미경・장명선(2011). 북한이탈여성의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효율적 운영방
  34. 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50-4), 1-101.
  35. 박정호(2012). 취업 고령자의 특성과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산적 활동의
  36.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9(4), 59-81.
  37.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숙・김남숙(2021).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서 인지유연성의 매
  38. 개효과. 「인문사회 21」, 12(4), 2407-2422.
  39. 박혜림(2017). 예비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전공인식, 교직수행능력의 구조적
  40.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사혜지・이철원・김민정(2017).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구조
  41. 적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5). 511-521.
  42. 서대석(2018).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
  43. 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0), 575-583.
  44. 서유경・안성우(2021). 청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 관계의
  45.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22(2), 181-201.
  46. 성혜영・유정헌(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75-93.
  47. 손지영(2019).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 인식 및 회복 탄력성에 미
  48. 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 43(4), 17-34.
  49. 송기영(2018).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
  50. 인복지연구」, 73(1), 469-503.
  51. 엄태완・이기영(2004). 북한이탈 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
  52. 계.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18, 5-32.
  53.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145
  54. 오은경・류진아(2021).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여성
  55. 연구」, 351-375.
  56. 이경란・박지혜(2021). 고령학습자의 긍정 심리자본,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57. 관계. 「평생학습사회」, 17(1), 147-172.
  58. 이기선・이정화(2020). 노인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59. 노인의 성-연령집단별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0(6), 1267-1286.
  60. 이묘숙(2012).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
  61. 신건강과 사회복지」, 40(3), 231-259.
  62. 이상주(2020). 퇴직준비역량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사회적지지의 조절효
  63. 과.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상희・임수아・허진무(202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있는 북한이탈주민 여성 노인의 합창단
  64. 활동과 회복 탄력성 및 성공적 노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 60(4), 273-286.
  65. 이신숙・김소라(2013). 가정교과가 연계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개
  66. 발과 평가-자아정체감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4),
  67. 63-77.
  68. 이승엽・김동주・이영광(2022). 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적응 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모살
  69. 이’. 「교육문화연구」, 28(6), 469-491.
  70. 이영선・구혜완・한인영(2013).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보건교육건
  71. 강증진학회지」, 30(2), 55-69.
  72. 이재관(2024).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이 남한사회 문화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73. 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6(1), 265-285.
  74. 이지영・최경원(2021). 북한이탈주민 직장적응 실태 분석과 제언. 「대한정치학회보」, 29(1),
  75. 55-87.
  76. 이지열・이민석(2020). 액티브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분석. 「한
  77. 국레저사이언스(구 여가웰니스학회지)」, 11(1), 1-10.
  78. 임지영・신현균・김희경(2010). 남한 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스트레스, 지각된 사회
  79. 적 지지, 대처방식과 전반적인 심리증상 간 관계. 「한국임상심리학」, 29(2), 631-638.
  80. 장숙희(2006). 노인의 건강 상태,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 8(1),
  81. 36-46.
  82. 146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83. 장신재(2020).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7(4), 151-168.
  84. 장신재(2017).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
  85.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305-310.
  86. 장신재・양혜원(2019).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87. 매개효과.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1(2), 1-12.
  88. 장홍영(2023).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인식과 생활만
  89. 족도 매개효과 중심. 「산업융합연구」, 21(5), 109-122.
  90. 전병주(2017).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국민정체성의 조절효
  91. 과. 「인문사회과학연구」, 18(1), 333-367.
  92. 전지형(2022). 빈곤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3(1),
  93. 392-400.
  94. 정영선(2018). 인신매매를 경험한 북한이탈여성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97-135.
  95. 정윤경・김희진・최지현(2015).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과 적응의 관계: 자활효능감의 매개
  96. 효과: 자활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1(2), 157-182.
  97. 정은희(2017).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상호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5, 31-58.
  98. 정혜윤・정혜민(2016). 농촌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건강증진 행위가 성공적 노화
  99. 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4), 2167-2181.
  100. 지혜은・박경숙(2018). 성공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비교. 「사회
  101. 보장연구」, 34(2), 209-237.
  102. 조완철・조위수(2018).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적응을 위한 발음・ 억양 교육 실천사례 특성 분
  103. 석. 「현대북한연구」, 21(1), 208-241.
  104. 조영아(2011).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105.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1), 1-19.
  106. 최은석(2018).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제도 변천과 사회적응교육의 개선 방향. 「북한법연
  107. 구」, (18), 387-425.
  108. 최장원(2019).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가 자기확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
  109. 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9(2), 241-259.
  110.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147
  111. 최형임・송인욱(2020).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112.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6), 246-255.
  113. 최혜경・백지은・서선영(2005).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가정과
  114. 삶의질연구」, 23(2), 1-10.
  115. 한용재・박지원・박현석(2016). 2년제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116. 수준에 미치는 영향: 체육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체육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
  117. 사회체육학회지」, 66, 433-446.
  118. 황길주・정명희(2021).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 문화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사
  119. 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문화산업연구」, 21(3), 171-179.
  120. Baltes, P. B., & Baltes, M. M.(1990). Successful Aging-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121. Science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2.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23. Davis, K.(2006). Brides, Bruises and The Border : The Trafficking of North Korean
  124. Women into China. SAIS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26(1), 131-141.
  125. Freund, A. M., & Riediger, M.(2003). Successful Aging. In Handbook of psychology, 6, 601-628.
  126. Hayes, A. F.(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127.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128. Kerres Malecki, C., & Kilpatrick Demary, M.(2002). Measuring Perceived Social
  129. Support: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Adolescent Social Support Scale
  130. (CASSS). Psychology in the Schools, 39(1), 1-18.
  131. Reker, G. R.(2002). Prospective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Community-Residing
  132. and Institutionalized Canadian Elderly. Ageing International, 27(1), 42-64.
  133. Rowe, J. W., & Kahn, R. L.(1997). Successful A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134. Ryff, C. D. (1989). Beyou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 Sin
  135. Quest of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36. 12(1), 35-55.
  137. Sitzmann, T., & Yeo, G.(2013).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within Person Self‐ Efficacy Domain: Is Self‐Efficacy A Product of Past Performance or A Driver of
  138. 148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139. Future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66(3), 531-568.
  140. Wang, P., Zhou, P., Tan, C. H., & Zhang, P. C.(2017). Effect of Self-Efficacy in Stereotype
  141. Activa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5(3),
  142. 469-476.
  143. Young, Y., Frick, K. D., & Phelan, E. A.(2009). Can Successful Aging and Chronic Illness
  144. Coexist in the same Individual? A Multidimensional Concept of Successful
  145. Aging.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0(2), 87-92.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