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총 권호 수
0 volumes
총 논문 수
0 articles
1970.01

키워드

방문취업, 조선족, 사회통합, 재외동포, 노동통합
Chinese-Korean, labor integration, Korean diaspora

초록

Since the introduction of Visiting and Employment Visa(H-2 Visa) for the Korean Chinese diasporas in China in March 2007, rapid increase of the Korean Chinese workers in Korean labor market raised an issue that Korean government needs to diagnose and prescribe the problems of labor market integration policy caused by the H-2 Visa stayers. Now about 300 thousands of H-2 stayers are working in the 36 categories of occupation in the simple labor market, which take over 50% of foreign guest worker in Korea. Primarily the import of foreign guest workers including the Korean diasporas was initiated to lessen the serious socioeconomic problems of Korea facing the Aged society. However, the massive and sudden increase of the Korean Chinese heightened the labor market conflicts with the domestic workers whose economic situation became worse under the recent global economic crisis. Even though the recent labor market conflict is not evidenced yet, the anti-diaspora mood or xenophobia in some sense, for the Korean Chinese is rapidly dispersing into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Korean society to depend on the foreign migrants so as to maintain and even accelerate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future. Moreover, considerate designing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especially in the realm of economic sphere, is prerequisite for the harmonious and developmental migrant society in Korea. Meanwhile, Many studies have already explored policies or instrumental tools for the labor market integration for foreign guest workers in Korea. But those studies are done mainly targeting on the general foreign workers excluding the Korean Chinese diasporas. Now recent increase of the H-2 Visa workers in Korea changed the labor market situations and made it necessary to recognize importance of the H-2 worker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s market actors. This study explores policy tools for labor market integration of the Korean Chinese guest workers in Korea, based on telephone and face-to-face survey of 600 H-2 stayers in Korea during two weeks of October 2010.

참고문헌 (28)

  1. [단행본]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 / 2010 / 외국인정책 HandBook / 고용노동부
  2. [인터넷자료] /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EPS
  3. [학위논문] 구경회 / 2008 / 외국인근로자 고용체류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4. [보고서] 김정호 / 2009 / 저숙련 외국인력 유입의 경제적 영향 분석
  5. [인터넷자료] / 동포타운신문
  6. [보고서] 백필규 / 2008 / 적정 외국인력 도입규모 결정을 위한 수급모델 개발 및 고용허가제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7. [보고서] 법무부 사회통합과 / 2010 / 재외동포 정책 추진방안
  8. [인터넷자료] / 법무부 하이코리아
  9. [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 / 2009 / 최근 소비 동향과 향후 전망
  10. [보고서] 설동훈 / 2005 / 외국국적동포 고용이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11. [보고서] 손배원 / 2010 / 국가기술자격 취득 중국동포 현황분석. 미드리
  12. [기타] 손민중 / 2008 / 최근 고용부진의 세가지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 SERI 경제포커스
  13. [기타] 신석하 / 2008 / 최근의 취업자 증가세 둔화에 대한 분석 / KDI 현안분석
  14. [학술지] 유경준 / 2008 / 최근 고용부진의 원인 분석: 비정규직법 효과 및 외국인 근로자 효과를 중심으로 / 월간노동리뷰
  15. [학술대회] 유경준 / 2010 / 외국인력의 대체성과 통계문제 / KDI정책포럼 (226)
  16. [보고서] 유경준 / 2009 / 외국인력의 현황과 정책과제
  17. [보고서] 윤정향 / 2009 / 외국인력 수요분석 및 활용방안
  18. [보고서] 이규용 / 2007 / 외국인력 노동시장 분석 및 중장기 관리체계 개선방향 연구
  19. [학술지] 이규용 / 2008 / 외국인력고용구조와 영향 / 노동리뷰
  20. [보고서] 이진영 / 2008 / 외국국적동포 체류 및 취업상황 실태조사
  21. [학술지] 전달수 / 2010 / 재외동포정책 현황과 향후 방향 / 미드리 (4)
  22. [인터넷자료] / 중소기업신문
  23. [보고서] 최요철 / 2008 / 최근 고용부진의 배경과 정책과제
  24. [학술지] 최홍 / 2010 / 금융위기와 외국인 고용환경의 변화 / SERI 경제 포커스 (287)
  25. [보고서] 출입국 / 2010 / 9월 통계연보
  26. [인터넷자료] / 출입국ㆍ외국인정책본부
  27. [인터넷자료] / 한국산업인력공단
  28. [단행본] Kajita, Takamichi / 2005 / Invisible Residents: Japanese Brazilians vis-a-vis State, Market and Migrant Network / University of Nagoya Press

참고문헌 더보기
총 논문 수 300 / 14 페이지 총 권호 수 0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