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투렛증후군, 투렛증후군 아동, 다문화가정 어머니
Tourette Syndrome, Child with Tourette Syndrome

초록

본 연구는 투렛증후군이 있는 아동을 양육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질적 연구방
법을 사용하여 연구함으로써 다문화가정 투렛증후군 아동의 어머니가 접하는 현실적 문제를 탐
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연구 참여자의 직접적인 목소리를 통해 구현
하고자 하였으므로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
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투렛증후군 아동의 어머니는 투렛증후군의 치료 및 자녀의 양육과 교
육에 대한 정보의 부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다문화가정 투렛증후군 아동의 어머니
는 투렛증후군 자녀의 교육과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문제에 대해 교육적 지원을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투렛증후군 아동의 어머니는 일반학교에서의 투렛증후군에 대
한 지식이나 이해가 부족한 이유로 인해 투렛증후군 아동에 대한 배려나 학습 지원의 부재를 경
험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투렛증후군 아동의 어머니는 투렛증후군 자녀가 속한 학급 교
사뿐 아니라 아동들을 대상으로 투렛증후군에 대한 안내가 필요함을 느끼고, 이런 안내의 부재
를 투렛증후군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중요한 요인으로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
의 결과는 투렛증후군이 있는 다문화가정아동과 어머니 역시 다른 특수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아동 및 그 부모와 마찬가지로 맞춤형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enting challenges experienced by a
mother of a child with Tourette Syndrome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one
volunteer research participant who has been living in Korea for 10 year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s,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three months. And to grasp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e broad context,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has a child with Tourette
Syndrome experience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knowledge on the cure of
Tourette Syndrome and the lack of knowledge on the better way of caregiving and
education for the child with Tourette Syndrome. The research participant also had to
deal with guilty conscience about the cause of Tourette Syndrome and helplessness
toward people’s lack of disability awareness and sensitivity on Tourette Syndrome.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research participant tried to navigate through the
difficulties in daily life to protect the child with Tourette Syndrome and demanded
better support systems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Tourette Syndrome. This
demand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education system and
social services for children with Tourette Syndrome over time.

참고문헌 (60)

  1. 강미라(2021). 다문화가정 장애 위험 아동의 발달 상담 사례연구. 「발달장애연구」, 25(2): 55-83.
  2. 곽현숙(2021). 「다문화가정 부모의 장애 위험 유아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석사학
  3. 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김경신・이봉순(2009). 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사례연구: 틱 행동 및 우
  4. 울감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 「예술심리치료연구」, 5(3): 91-114.
  5. 김붕년(2004). 틱 장애의 진단과 치료. 「대한 가정의학회지」, 25(5): 359-361.
  6. 김필호・류주현(2020).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다문화사회
  7. 연구」, 13(3): 5-37
  8. 노경임(2017). 「다문화가정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 경험과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
  9. 문. 창원대학교, 창원. 박지숙(2015). 청각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245-265.
  10. 봉귀영・이소현(2013).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내 자폐
  11. 범주성 장애 유아의 모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7(4):113-138.
  12. 송순임(2020).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선행연구에 관한 분석:교육과 양육 사례 중심 으로. 「다문
  13. 화사회와 교육연구」, 6: 73-96.
  14. 신민섭・홍강의・김자성(1993). 만성운동성 틱장애와 뚜렛장애의 인지행동적 차이. 「소아・청
  15. 소년정신의학」. 4(1):134-153.
  16. 신준옥(2020).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
  17. 지교육」, 49: 139-160.
  18. 심민・이종화・김태헌・류영수・강형원(2007). 틱장애의 한의학적 이해에 관한 문헌적 고찰(2007).
  19.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8(2): 1-12.
  20. 우준범・김지훈(2018).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동반된 틱장애의 신경생물학과 약물치료. 「정서・행동장애연구」, 34(2): 71-93.
  21. 윤석인・서효원・이미선・홍성규・정선용(2022). 틱장애 아동 보호자의 일상 및 한의치료 이용
  22.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33(4): 361-376
  23. 이상희・이연우(2016).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24. 인식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2): 19-44.
  25.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투렛증후군 자녀 양육 사례 연구 37
  26. 이인숙(2011).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교육실태와 부모의 어려움」.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
  27. 교, 부산. 이종우・김덕곤・정규만(1992). 소아 심신증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6(1): 61-18.
  28. 임명호・이영림・김붕년(2014). 틱장애 혹은 뚜렛장애의 비약물치료.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5(3): 53-64.
  29. 조향숙・옥수선(2017). 결혼이주여성의 지적장애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지적
  30. 장애연구」, 19(4): 151-181.
  31. 전경화・김신호・김혜경・이형주・임병우(2019). 발달장애아 부모의 생애사를 통 해 본 도전적
  32. 행동 돌봄 적응. 「한국정책연구」, 19(3): 25-45
  33. 전혜영・이미숙(2014).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관련 문헌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4):
  34. 83-107.
  35. 정선주・정희연・황정민(2001). 틱장애의 진단분류에 따른 임상특징과 질환 심각 도와 연관된
  36. 변인들.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2(1): 115-24.
  37. 정소영・조결자(2007). 정상아와 자폐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대 한 비교. 「정
  38. 신간호학회지」, 16(3): 258-266.
  39. 정용우・박태원(2010). 틱장애의 환경적 요인.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1(3): 133-140.
  40. 정지은・이혜숙(2021). 촉감각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틱 증상 아동의 틱 행동과 자아존중감
  41. 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28(3): 1191-1212
  42. 주성희・한경임(2017).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특수아동교육연구」, 19(2):
  43. 243-268.
  44. 하수민・윤종회(2002).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
  45. 지」, 40(10): 191-200.
  46.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4). 「소아청소년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틱장애」. 서울: 건강보험
  47. 심사평가원. 홍은진・한진덕(2018). 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활동중심 미술치료 사례. 「임상
  48. 미술심리연구」, 8(1): 103-126.
  49. Bruner, J.(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50. Clandinin, D. J., & Connelly, F. M.(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51. 38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52.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53. Chowdhury, U. & Murphy, T.(2021). Tic disorder: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54. Huberman, A. M. & Miles, M.B.(1994).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55. N.K. Denzan & Y.S. Lincoln (Ed.), The landscape of qualitative research.
  56. Thousand Oaks, CA: Sage.
  57. Merriam, S.B.(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58.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9. Staley D, Wand R, Shady G.(1997). Tourette disorder: A crosscultural review. Compor
  60. Psychiatry. 38(6), 1-19.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