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학생, 국내출생, 일상생활경험, 질적연구
Multicultural Family,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y, Born in Korea, Aily Life Experience, Qualitative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일상생활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정책 변화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 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
고 이들의 사례를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다문화가정이라
는 사회적인 프레임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그들은 일반 학생과 구별하고 경계 짓는 것에 부정적
이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자신의 가정생활을 만족스러워했다. 그들은 부모와의 정서
및 유대관계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그들은 특별한 교육지원을 원하지 않았으며 지원한다
면 일반 학생과 구분 없이 지원받으려 했다. 넷째, 그들은 어머니 언어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에
매우 낮은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이중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을 바
꾸고자 하였다. 다섯째, 이들은 다문화가정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이 변화되길 바라고 있다. 학
교, 사회, 미디어 등 다문화가정에 대한 이미지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
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정책 변화를 제언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
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suggest policy chang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i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eigh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eaning was derived through their cases. As a result, firs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ried to escape from the social fram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y were negative about distinguishing and bounding them
from general students. Seco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atisfied with
their family life. They had a harmonious emotional and bond with their parents. Thir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negative about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didn't want special educational
support, and if they applied, they wanted to receive support regardless of general
students. Fourth, they showed very low interest in bilingual education for the mother's
language. They tried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speak bilingual. Fifth, they hope to change Korean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emphasized the need to change the im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schools, society, and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chang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uggeste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preparing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uture.

참고문헌 (47)

  1. 강해순・김현옥・김소형(2022). 다문화적 특성의 혼합분포군집 유형에 따른 초국적 이주자
  2. 자녀의 심리사회적 요소 분류예측 - 혼합분포군집분석과 CARET 중심- 「한국사회
  3. 복지학」, 74(1): 79-106.
  4. 교육부(2023). 「2023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세종: 교육부
  5. 권경숙・황인애・이승숙(2019).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이중언어교육 지원 실제 탐색. 「유
  6. 아교육연구」, 38(4): 41-164.
  7. 김영천(2012).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방법과 과정, 「교육학연구」, 35(5): 135-170.
  8. 김정희(2019).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육 자본화를 위한 다문화 범주화 다문화 수용성에 대
  9. 한 질적 연구. 「다문화와 평화」, 13(1): 34-5.
  10. 백별아・민장배(2022).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부적응 경험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 「문화
  11. 교류와 다문화교육」, 11(1): 97-118.
  12. 박미숙(2016).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사회적 실천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재환(1984). 일상생활에 대한 사회학적 조명. 「사회과학논총」, 3(1): 241-257.
  13. 백승희・정혜원(2017).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다문화수용성의 발달양상과 공동체의식의 변
  14. 화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8(1): 151-182.
  15. 선봉규(2017).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현황 및 과제: 광주광역시 거주 고려인동포 자녀를
  16.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8(2): 803-829.
  17. 송사리・박명숙(2018). 다문화가정 자녀가 인식하는 심리적 배제와 위축행동과의 관계: 이중
  18.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9(1): 65-96.
  19. 송지윤(2022). 동화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한국어교육 방안. 「에듀테인먼트연구」, 4(2): 65-83.
  20. 신경림(2004). 「질적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안혜진(2019).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
  21. 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 789-807.
  22. 여성가족부(2023). 「2023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유진희(2022). 학교부적응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족상담 사례연구. 「복지와 문화다양성
  23. 연구」, 4(1): 1-20.
  24. 이상미・이유미(2023). 중국 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이중언어를 위한 부모교육 참여
  25.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학생의 일상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19
  26. 경험. 「열린부모교육연구」, 15(1): 27-51.
  27. 임범식(1996). 「일상의 위기로서의 산업재해」.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8. 조숙정(2023). ‘다문화가정’ 용어에 내재된 차별과 편견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와 교육연
  29. 구」, 13: 175-213.
  30. 지연정・김병주(2015). 여고생의 입시준비와 학교생활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행정학연
  31. 구」, 33(3): 29-49.
  32. 최혜지(2017). 이민자의 사회통합에 대한 국가간 비교. 「한국사회정책」, 24(2): 217-244.
  33. 한경혜・손정연(2009).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
  34. 과 정서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3): 1159-1182.
  35. 허무녕・김춘경(2022).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
  36. 의 영향력 검증. 「다문화교육연구」, 15(2): 1-22.
  37. 홍승아(2022). 코로나 시기 이후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교육. 「용봉인문논총」, 61: 311-337.
  38. Colaizzi, F. E.(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Valle
  39. RS, King M(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40.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41. Dewey, J.(1986). Experience and Education. The Educational Forum, 50, 241-252.
  42. Larson, R., Zuzanek, J., & Mannell, R.(1985). Being alone versus being with people:
  43. Disengagement in the daily experience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4. 40(3), 375-381.
  45. Merriam, S. B.(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46. San Francisco: Jossey-Bass.
  47. Patton, M. Q.(2002).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3rd Ed.). CA: Sage.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