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결혼이주여성, 삶의 경험, 삶의 만족, 근거이론, 생태체계이론
Married Immigrant Women, Life Experience, Life Satisfaction, Evidence Theory, Ecosystem Theory

초록

이 연구는 한국으로 정착한 결혼 이주 여성들의 삶의 경험을 탐구하고,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23년 경기도 하남시, 광주시, 성남시에 거
주하는 결혼이주여성 14명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개방 코딩, 축코딩 및 선택 코딩을 통해 분석했
으며, 264개의 개념, 66개의 하위 범주 및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탐색, 적응 및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제 가족의 정체성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 하기’가 핵심 범주로 확인했다. 이를 기반으로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경험을 ‘주도적 안정형’, ‘타협적 안정형’, ‘모순적 안정형’
및 ‘불안한 혼돈형’의 네 가지 범주로 분류했다.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경험에 대한 통찰
력을 제공함으로써 사회복지 및 다문화 정책 개발에 필요한 정보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기를 기대
한다. 이를 통해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만족과 복지 수준을 개선하여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 기반 사회정책의 형성과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ir home country and after migrating to Korea, with a balanced
conside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married immigrant women. To investigate
the lif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using evidence theor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264 concepts,
66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The key
category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playing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international family through exploration, adaptation, and network construction’.
Based on thi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itiative stability type’,
‘compromising stability type’, ‘uneasy stability type’, and ‘anxious chaotic type’. By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lif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inform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and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It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evidence-based
policies and practices that can improve the well-being and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promote their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참고문헌 (56)

  1. 강하라(2019). 유아기 첫 자녀를 둔 다문화 가족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이해, 이
  2.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태연(2018).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한국산학기
  3. 술학회논문지, 19(1): 239-250.
  4. 김상민・이소영(2017). 전남 결혼이주여성의 생활 만족도 영향요인 및 정책시사점, 지방행정
  5. 연구, 31(3): 323-352.
  6. 김선희(2017). 다문화 이주여성의 만족감과 우울감에 대한 비교분석: 개인적・사회적・제도적
  7. 자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8(6): 63-77.
  8. 김성호(2019). 상호문화주의에 근거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 경험 연구- 사회적경제
  9. 공동체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52: 57-84.
  10. 김송렬(2020). 이주배경 중도입국 청소년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이주민 밀집지역의
  11. 영향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김옥녀・임동진(2021). 결혼이주민과 결혼정주민의 생태환경체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2. 사회적 위험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8(3): 35-66.
  13. 김철수(2018). 결혼이주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인문연구 84: 267-302.
  14. 김희정・조영아(2017).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24:
  15. 99-140.
  16. 나경희・이선(2016).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이중언어강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요
  17. 구 분석”, 외국어교육, 23(1): 289-309.
  18. 문무현・한진환(2018).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
  19. 절효과를 중심으로 -,
  20.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7): 165-175.
  21. 박동숙・임해영・김은경(2019).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5:
  22. 5-41.
  23. 박선미・김영아・정향인(2019). “다문화가정 여성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
  24. 와 보건연구, 24(1): 31-39.
  25. 박현식・최미영・이옥진(2018).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
  26. 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2(4): 61-74.
  27. 62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28. 서재복・권인탁・임명희(201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
  29. 구”, 교육종합연구, 14(1): 225-246.
  30. 서종건・양성욱(2021).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교육의 관계: 관계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31. 21 : 12(1): 1287-1300.
  32. 오경석(2009).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여성가족부(2021). 2021년 전국가족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유기웅(2022). 근거이론 방법의 체계적 접근: 논문 작성 가이드, 박영스토리. 원종숙・김성길(2021). 다문화 이주여성의 배움경험으로서 改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래
  33. 교육연구, 11(3): 1-28.
  34. 이안나・강영신(2020).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 32(1): 491-521.
  35. 이혜주・오성배(2019).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국내거주기간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을 통
  36. 한 교육지원 방안 탐색, 다문화콘텐츠연구, 31: 111-139.
  37. 이준우(2021). 통합과 융합의 사회복지실천, 도서출판 인간과 복지. 법무부(2023). 연도별 결혼이민자 체류현황, 법무부. 법무부(2024).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24. 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법무부 시군구별 국적별 현황(2023. 12. 31.), 법무부. 행정안전부(2024).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현황(2019~2023)-결혼이민자, 행정안전부. 장정인・이지민(2019). 다문화가정 여성의 한국어 사용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
  38. 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6(1): 137-151.
  39. 최순례(2020).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체계적 접근을 중
  40. 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지경・변규리・김상임(2020). 재난 발생 시 사회복지 분야의 역할: 생태체계이론의 외체계를
  41.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3): 191-207.
  42. 최지영(2012).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케스틀 엔 밀러(Castles, Stephen & Miller, Mark J.). 한국이민학회 옮김, 2013(2009), 이주
  43. 의 시대, 청미. Bronfenbreunner, Urie(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44.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63
  45. Press.
  46. Hochschild, A. R.(2000). “Global Care Chains and Emotional Surplus Value”. pp.130-146
  47. in W. Hutton and A. Giddens. ed.. On the Edge Living with Global Capitalism.
  48. Vintage.
  49. Illouz, Eva(2012). Warum Liebe weh tut, 에바 일루즈, 김희상 역, 돌베게, 2013, 사랑은 왜
  50. 아픈가: 사랑의 사회학. Strauss, A. L., & Cobin, J. M.(2015). Basics of Q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51.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4th ed). CA; London: SAGE
  52. Publications Inc.
  53. Taylor, Charles and Amy Gutmann, eds.(1994).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54.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Yakushko, Oksana & Krista M. Chronister(2005). “Immigrant women and Counseling:
  56. The Invisible Othe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3: 292-298.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