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제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는 연구기관

저널명
다문화와 평화(Multiculture & Peace)
등재사항
KCI등재
수록권호
제18권 2호 (통권 42호)
발행일
2024.08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복합학
발행기간
2023.12 ~ 2024.08
발행주기
연 3회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30 articles

키워드

결혼이주여성, 이주배경, 사회참여, 다문화 이해교육 강사, 통역사
Marriage Migrant Women, Migration Background, Social Particip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or, Interpreter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 경험과 그 의미, 특히 결혼이주여성이 자신의 이중문화 배
경을 활용하는 다문화 이해교육 강사 및 통역사 활동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
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1년 이상 다문화 이해교육 강사 또는 통역사로 활동 중인 결혼
이주여성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3년 3월 8일부터 약 4개월간 일대일 면접을 진행
하였고, 이들의 사회참여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
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377개 의미 단위, 37개 하위 구성요소 및 17개 구성요소를 도출
하였고, 이들은 ‘존재와 삶을 둘러싼 여러 장벽’, ‘나’의 일을 통해 즐거움과 당당함을 회복’, ‘녹
록지 않은 일터와 일 경험’, ‘스스로와 가족, 사회로부터의 인정’, ‘진정한 다문화 전문가로 성
장’의 5개 주제로 구조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 경험의 의
미를 논하였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of marriage
migrant women,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ors and
interpreters, where they utilize their bi-cultural backgrounds. For this purpose, eight
married migrant women who have been working as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ors
or interpreters for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March 8, 2023, and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377 meaning
units, 37 sub-components and 17 constructs were derived and structured into five
themes: “Barriers surrounding existence and life”, “Recovering pleasure and dignity
through ‘my’ work”, “Challenging workplace and work experiences”, “Recognition
from self, family and society” and “Growing into a true multicultural professional”.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참고문헌 (70)

  1. 국무총리실・관계부처 합동(2010).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2010~2012)」. 김기화(2022).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활동 경험 연구: 상호문화실천과 임파워먼트를 중심으
  2. 로. 「도시연구」, (21): 45-89.
  3. 김민석(2024). 사회적경제 조직에 참여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자본 축적 과정에 관한 연구:
  4. 대구・경북지역 사회적경제 조직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23(1): 53-75.
  5. 김욱진(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와 건강.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8: 77-103.
  6. 김은영・박수정(2022). 결혼이주여성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자원봉사 의미 탐색. 「문화교류와
  7. 다문화교육」, 11(5): 65-81.
  8. 김은재(2018).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지역사회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지
  9. 역사회연구」, 26(4): 65-90.
  10. 김은정(2019). 여성 결혼이민자의 공동체 참여경험 및 적응과정 연구. 「인문사회 21」, 10(2):
  11. 113-128.
  12. 김주연(2023).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콘텐츠연
  13. 구」, (45), 165-186.
  14. 도교동・이윤주(202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
  15. 와 교육연구」, 11(2): 7-35.
  16. 박명숙・송사리(2022). 결혼이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직장이동의 어려움. 「미래사회복지
  17. 연구」, 13(3), 5-32.
  18. 박정은・원영애・최은영(1994). 「초기 노인여성의 사회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
  19. 정책연구원. 배경희(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
  20. 국가족복지학」, 41: 33-54.
  21. 박영주・윤동화・김원진(2015).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자치
  22. 행정학보」, 29(3): 163-188.
  23. 박현선・정수정(2017).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영역 간의 종단적 상호
  24.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6: 197-224.
  25. 법무부(2024). 「2023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신경림・조명옥・양진향 외(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6. 90 다문화와 평화 제18집 2호
  27. 신예지・강영신(2023).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 사회적 지지
  28. 를 통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2(6): 57-81.
  29. 신혜정・노충래・허성희・김정화(2015).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관한
  30. 메타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7(3): 5-29.
  31. 여성가족부(2012).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 여성가족부(2018).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여성가족부(2023).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오민정(2023).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의 의미 -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
  32. ‘톡투미’ 사례연구 -. 「문화와 융합」, 45(7): 489-504.
  33. 오은주・정순희(2014). 결혼이민여성의 재무스트레스와 행복감에 대한 질적 연구. 「Financial
  34. Planning Review」, 7(3): 73-92.
  35. 이유나・서재복(2023). 다문화 해설사를 통해 본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의미 : Photo Voice 연
  36. 구 활용. 「교육종합연구」, 21(3): 1-31.
  37. 이윤정・김영순(2023).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관한 의미: Q방법론적
  38. 접근. 「다문화와 평화」, 17(3): 56-76.
  39. 이현주(2018).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8(1): 165-191.
  40. 이혜림(202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9(1):
  41. 119-154.
  42. 임혜정(2018).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실천 경험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1(3): 77-97.
  43. 전경미・공수연・정기섭(2014).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강사양성 과정교육경험에 관한 연
  44. 구.「열린교육연구」, 22(2): 261-279.
  45. 최윤정・전기택・김이선・선보영・동제연・양계민・최영미・황정미(2022). 「2021년 전국다문화
  46. 가족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최인이(2016).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통한 정체성 형성 - 대전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직업
  47. 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담론 201」, 19(1): 5-43.
  48. 황정미・문경희・양혜우・장승희(2009).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49. 구축 Ⅲ: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서울: 한국여성
  50. 정책연구원・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5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 경험 91
  52. 황해영・김영순(2024). 결혼이주여성 일상생활에서의 차별경험에관한 질적사례연구. 「언어와
  53. 문화」, 20(2): 175-203.
  54. Brown, R., Zagefka, H.(2011). The dynamics of acculturation: An intergroup perspective.
  55.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4: 129-184.
  56. Doucerain, M. M., Deschênes, S. S., Gouin, J.-P., Amiot, C. E. & Ryder, A. G.(2017).
  57. Initial mainstream cultural orientations predict early social participation in
  58. the mainstream cultural group.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59. 43(2): 245-258.
  60. Kashima, Y.(2014). Meaning, grounding, and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Asian
  61.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7(2): 81-95.
  62. Newton, K., Montero, J.(2007). Patterns of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In Jowell, R.,
  63. Roberts, C. Fitzgerald, R. & Eva, G.(Eds.), Measuring Attitudes Cross-Nationally
  64. (pp. 205-237). London: Sage Publications.
  65. Palmore, E. B.(1981). The facts on aging quiz: Part two. The Gerontologist, 21(4):
  66. 431-437.
  67. Pettigrew, T. F., Tropp, L. R.(2006). A meta-analytic test of intergroup contact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5): 751-781.
  68. Portes, A. & Rumbaut, R. G.(2005). Introduction: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
  69. Children of Immigrants Longitudinal Study(CILS). Ethnic and Racial Studies,
  70. 28(6), 983-999.

참고문헌 더보기
다문화와 평화 총 논문 수 30 총 권호 수 3 KCI등재 발행기간 2023 ~ 2024 발행주기 연 3회
게시물 검색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